교류정책
추진전략 및 핵심과제
-
vision
세계와 공감하고
협력하여 모두가
행복한
국제문화교류 - 문화ㆍ예술
국제교류 확대 - 문화콘텐츠
산업 해외진출
강화 - 국제스포츠
협력 강화 - 국제관광
협력 강화 - 공적개발원조
확대 및 국제문화
교류 지원
체계화
3대 정책목표
체계적인 문화교류 지원 - 국제문화교류의 자율성 강화 - 지속가능한 문화교류 생태계 조성
4대 추진전략
국제문화교류 진흥 체계화, 국제문화교류 대상의 다양화, 지역과 민간의 국제문화교류 활성화, 국제문화교류 기반 조성
-
국제문화교류 진흥 체계화
국제문화교류 정책 추진체계 구축국제문화교류진흥위원회 운영, 시·도 지자체의 국제문화교류 기반 구축, 문체부-외교부 협력채널 구축을 통해 국제문화교류 진흥 지원체계 조성
국제문화교류 진흥 업무 전담기관 운영국제문화교류 지원사업을 체계적·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국내외 국제문화교류 유관기관·협력기관의 허브 역할을 수행할 국제문화교류 진흥 업무 전담기관 운영
재외문화원 인프라 확충 및 다기능화재외문화원 국유화를 통해 문화시설을 개선하고, 권역별 코리아센터를 통한 다기능 서비스 제공
맞춤형 지원을 통한 세종학당 활성화세종학당별 수요자 맞춤형 한국어 교육과정 지원, 한국어 교육 품질 제고, 지역별·문화권별 특화된 고품질 문화프로그램 운영 등 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어 교육 유입 지원
-
국제문화교류 대상 다양화
북방·신남방 지역 협력증진을 위한 문화교류 활성화한-러, 한-아세안3개국 “상호 문화교류의 해”를 개최하는 한편, 개발도상국 대상 문화동반자사업, 문화예술교육, 유네스코 신탁기금 지원사업 추진 등 문화 ODA 협력 강화
한중일 문화교류 심화한중일 문화장관회의 개최, 동아시아문화도시 한중일 사무국 설치 및 선정도시 지원 강화, 한중·한일 축제한마당 행사 개최 등 문화협력 강화
유네스코와의 협력 강화유네스코 관계기관 및 신탁기금 협력 강화를 통해 사업대상국 선정에 있어 정부의 대외정책을 고려한 협의 가능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대상국 및 장르별 협력사업 활성화
한국문화를 매개로 한 국가이미지 제고수교계기 문화행사 개최, 문화홍보관 주재 문화예술·홍보행사 개최, 해외 문화예술계 주요인사 초청, 주한 유학생 대상 한국문화 소개 등 외국인 대상 한국문화 향유 기회 확대 지원
-
지역과 민간의 국제문화교류 활성화
지역 문화예술단체의 국제문화교류 사업 지원지역 고유의 우수 문화콘텐츠를 보유한 지역 문화예술단체의 문화교류 사업을 발굴·지원함으로써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역량 증진
지방자치단체의 국제문화교류 활동 지원국제문화교류 경험이 부족한 지자체에 컨설팅, 전문가 파견 등을 통해 효과적이고 차별화된 국제문화교류 사업을 기획·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
민간의 국제문화교류 사업 활성화 지원민간 공연·전시 프로그램 지원사업 및 해외 레지던스 프로그램 참가 지원사업 확대를 통해 민간의 다양한 교류주체들의 국제문화교류 활동 증진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의 소통 강화지자체 및 국제문화교류 유관기관 간 정책협의체 운영을 통한 소통 기회 확대 및 협력 네트워크 기반 조성
-
국제문화교류 기반 조성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국제문화교류 실무역량 강화 지원, 경력 단계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해외 기관 파견 등을 통해 공공·민간 분야 국제문화교류 담당자들의 전문성 제고 및 해외 네트워크 확충
국제문화교류 종합정보시스템 운영국제문화교류 기관·단체 교류활동 현황, 지원사업 정보, 해외 문화동향 등 국제문화교류 관련 각종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종합정보시스템 운영
국제문화교류 실태조사 실시국제문화교류 목적, 방식, 대상국가, 사업현황 등 민간·지자체·정부의 국제문화교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기 조사 실시
미래기술 활용 문화교류 사업 지원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험적인 교류사업을 발굴 및 지원하여 새로운 가치 창출 기회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