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지식
한류생생리포트
-
한류와 한국 드라마
한류와 한국 드라마코로나19 팬데믹이 세상의 변화를 앞당기고 있다. 미래 어느 시점에 실현될 것이라 막연히 전망되었던 재택근무는 ‘거리 두기’ 정책에 따라 빠르게 정착했으며, 사회적 행동이 억제된 수용자들은 영화관과 공연장 대신 모바일과 OTT(Over-the-Top)2022-03-31 -
케이팝 세계화의 새로운 국면
케이팝 세계화의 새로운 국면한 때 서구 대중음악의 아류나 모방품에 불과했던 케이팝은 21세기를 맞아 글로벌 팝 음악으로서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케이팝은 정교한 시스템과 전략을 통해 영미 팝이 미처 도달하지 못했던 아이돌 음악의 혁신을 이룩했으며, 이를 통해2022-03-31 -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 웹툰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국 웹툰한국 웹툰이 전 세계 만화 앱 시장을 주도하며 새로운 한류 장르로 눈부신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성공과 발전 뒤에는 웹툰만이 지니는 이야기 경쟁력, 높은 IP 가치,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 등의 요인들이 작용했다. 그리고 그2022-03-31 -
한국영화, 예술성과 대중성을 거머쥐다
한국영화, 예술성과 대중성을 거머쥐다언제부터인가 ‘한류’의 구체적 기원은 지난 1997년 《MBC》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 《CCTV》에 방영되며 불기 시작한 인기 바람이라는 것이 통설로 굳혀졌다. 한국 아이돌 그룹의 원조 격인 H.O.T.가 역시 중국에서 대히트를2022-03-31 -
스트릿 패션, 하이패션의 영감이 되다
스트릿 패션,하이패션의 영감이 되다스트릿 문화가 형성되는 ‘스트릿(Street)’은 아직 사회적으로 소속감을 가지지 못한 청소년이나 젊은 사람들이 정체성과 욕구를 실현하는 공간을 의미하며, 스트릿 패션에는 이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담겨져 있다. MZ 세대가 리드하는 영컬2022-01-18 -
그라피티, 거리 문화에서 주류 미술로
그라피티,거리 문화에서 주류 미술로사회비판적이고 풍자적인 메시지를 담은 그라피티는 주류문화에서 멀어진 저항문화이자 청년문화의 산물이다. 또한 그라피티는 언제든 사라질 수 있는 일시적이고 한시적인 예술이고, 도시의 건물과 벽에 몰래 나타나는 변방의 예술이다. 이러한 그라2022-01-18 -
대중문화의 빛이 된 한국 언더그라운드 힙합
대중문화의 빛이 된 한국 언더그라운드 힙합본 글의 목적은 한국 언더그라운드 힙합이 형성될 당시 구성원들 간 공유되고 있던 가치관과 지향점이 무엇이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오늘날 한국 언더그라운드 힙합의 대중화 요인과 사회문화적 의의는 무엇인지, 추후 한국 힙합의2022-01-18 -
<스트릿 우먼 파이터>가 한국 스트릿 댄스 문화에 미친 영향
스트릿 우먼 파이터가한국 스트릿 댄스 문화에 미친 영향본 글은 《Mnet》 스트릿 댄스 오디션 프로그램인 스트릿 우먼 파이터(Street Women Fighter, 이하 스우파)의 성공이 한국 스트릿 댄스 문화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고찰에 앞서 스트릿 댄스2022-01-18 -
가상과 현실을 가로지르는 디지털 휴먼
가상과 현실을 가로지르는 디지털 휴먼메타버스 시대의 디지털 휴먼은 가상 인플루언서, 가상 아이돌, 인공지능 캐릭터, 인공지능 아바타, 메타 휴먼 등 다양한 이름으로 호명되고 있다. 디지털 휴먼은 인간을 닮은 동시에 현실 세계에 육체적 물질성을 갖지 않은 존재라는 점에서2021-11-22 -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창작과 공연의 저작권 문제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창작과 공연의 저작권 문제최근 전 세계적으로 메타버스 공간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뜨겁다. 메타버스 플랫폼의 성공 가능성은 해당 공간을 어떻게 디자인하고 구현할지에 대한 문화적인 상상력에 따라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2021-11-22